파이썬/기본문법12 파이썬 모듈과 매칭된 파일 확인하고 조작하기 import syssys.modules파이썬 모듈이란 파이썬 모듈은 확장자가 py로 끝나는 파이썬 파일을 말합니다. 결국 기본 라이브러리를 다운받아 import를 하건, 직접 파일을 만들어서 import를 하건 어느 위치에 해당 파일이 있는지 알려주는 것이 모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모듈이란 파이썬파일, import된 모듈은 해당 파일의 위치값을 가진다고 이해하면 편합니다. 모듈과 매칭된 파일 위치 보는 법 아래와 같이 sys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간단히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모듈이름 : 모듈객체(파일위치 포함)" 형태의 딕셔너리를 반환합니다. 주의할 점은 딕셔너리의 value값은 문자열이 아닌 'module' 객체라는 점입니다. import syssys.modules 모듈 사전에는 imp.. 파이썬/기본문법 2024. 6. 19. 파이썬 이중, 다중 리스트 1차원 리스트 하나로 만들기 for문을 이용한 방법 먼저 반복문을 이용해 하나씩 순회하면서 내용을 꺼내와 새로운 리스트에 담아주는 방법입니다. 가장 기본입니다. 다차원 구조일 수록 for문이 늘어나게됩니다. lst = [[1,2,3,4,5], ["a","b","c","d"]] lst_1d = [] for i in lst: for j in i: lst_1d.append(j) 위 구문을 한 줄로 작성하면 아래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lst = [[1,2,3,4,5], ["a","b","c","d"]] lst_1d = [j for i in lst for j in i] 위와 같이 하나씩 추가해줄 때는 리스트의 append()를 사용합니다. 리스트가 제공하는 extend()를 사용하면 리스트를 리스트 안에 추가하더라도 다차원 리스트가 아닌.. 파이썬/기본문법 2024. 3. 25. 파이썬 정규표현식 기초 대괄호 [ ] 정규표현식 대괄호는 들어가는 문자 자체를 모두 찾아줍니다. 대괄호안과 밖을 잘 구분해서 사용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ca+t]" 는 "c", "a", "+", "t"를 하나씩 모두 찾겠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c[a]+t" 는 c와 t 사이 a가 한 개 이상인 단어를 찾아달라는 뜻이 됩니다. 대괄호 안에 들어가서 바로 인식이 안되는 하이픈(-) 같은 경우는 앞에 역슬레쉬를 붙여주면 됩니다. "[\-]" : 하이픈이라는 문자 자체를 찾음 하이픈을 그냥 사용하면 범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abc] == [a-c] : a~c까지의 문자 [a-zA-Z] : 영어문자 모두 [0-9] : 숫자 모두 [가-힣] : 한글 모두 [0-9a-zA-Z가-힣] : 특수문자를 제외하고 숫자, 영문, 한글 모.. 파이썬/기본문법 2024. 3. 8. 파이썬 내장 함수 파이썬에 기본적으로 포함된 잘 사용되는 내장 함수들입니다. abs(숫자) abs(-3) ==> 3 숫자 절대값의 절대값 all(리스트 형태의 반복 자료형(iterable)] all([1, 2, 3, 0]) ==> False all([1, 2, 3]) ==> True 하나라도 거짓이면 False, 모두가 참이면 True 반환 any(리스트 형태의 반복 자료형(iterable)] any([1, 0, 0, 0]) ==> True any([0, 0, 0, ""]) ==> False 하나만 참이어도 True, 모두가 거짓이면 False 반환 chr(아스키코드) chr(97) ==> 'a' 아스키코드를 문자로 변환 dir(객체 오브젝트) dir(list) ==> ['append', 'count' ...] 리스트 클.. 파이썬/기본문법 2024. 3. 4. 파이썬 클래스 만들기 및 클래스 상속 받기 파이썬 클래스 만들기 클래스 만들기 또한 간단합니다. 1. 클래스 선언을 해줍니다. 한 줄이면 됩니다. # 학생 클래스 class Student: 2. 클래스 객체가 가지고 있을 데이터가 있다면 생성자로 매개변수를 받아줍니다. 생성자라는건 클래스를 이용해 객체 인스턴스를 만들 때의 초기값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파이썬의 경우 "__init__()" 메소드를 이용해 만들어주면 됩니다. 클래스 내부의 모든 메소드의 첫 매개변수는 "self"를 넣어줘야 합니다. 클래스 내부에서 자기 자신을 지칭하는 용도입니다. 클래스가 가질 "self.변수"에다가 매개변수로 받은 변수들을 넣어주면 됩니다. 물론 바로 넣지 않고 필요한 만큼 변형을 해서 넣어도 됩니다. # 학생 클래스 class Student: # 초기 생성자.. 파이썬/기본문법 2024. 2. 16. 파이썬 파일 읽기 쓰기 파이썬 파일 생성하기, 파일 열기 파일을 열면 항상 잘 닫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세트메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쓰기 모드("w"), 추가모드("a")로 오픈할 경우 없으면 새로 생성됩니다. f = open("file.txt", "w") # 파일 만들어서 열기 f.close() # 파일 닫기 파일 열기 모드 설명 r 읽기모드 w 쓰기모드 (기존 내용 지우고 새로 씀) a 추가모드 (마지막 부분부터 이어 씀) 경로를 설정해야하면 아래와 같이 지정해주면 됩니다. 역슬레쉬는 2개를 해야 오류 확률이 줄어듭니다. 경로 디폴트는 현재 편집하고 있는 ".py" 파일이 있는 위치입니다. f = open("E:\\Python\\file.txt", "w") # 파일 만들어서 열기 f.close() # 파일 닫기 파이썬 .. 파이썬/기본문법 2024. 2. 16. 파이썬 함수 (메소드) 사용하기 파이썬 함수 기본 구조 함수의 기본 구조는 간단합니다. 다른 언어와 달리 타입 지정이 없어서 사용하긴 편리한데 복잡해지면 디버깅하기 더 어려워 보이긴 합니다. 딱히 값을 리턴 하지 않고 특정 동작만 하도록 해도 무방합니다. # 파이썬 함수 기본 구조 def method(a, b): # a, b를 매개변수로 받는 함수 method return a + b # a + b 결과값을 리턴함 add = method(1, 2) print(add) # ==> 3 파이썬에서 매개변수(파라미터) 갯수 변할 수 있도록 함수 만들기 매개변수에 *을 붙여주면 가변인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튜플 형식으로 만들어주기 때문에 반복문을 통해 쉽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def sum_all(*args): print(type(args).. 파이썬/기본문법 2024. 2. 16. 파이썬 제어문, 반복문 (if, for, while) 파이썬 if 여기서부터는 들여쓰기가 중요합니다. 세미콜론으로 문장을 구분하는 다른 언어와 달리 세미콜론이 없기 때문에 들여쓰기를 잘 해줘야 합니다. 조건의 콜론(:) 밑에 하부 수행 사항을 들여쓰기로 구분해주면 됩니다. 파이썬의 if문은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나머지는 그냥 응용입니다. a = "메롱" if a == "강아지": # a가 "강아지라면" print("강아지가 맞슴다.") elif a != "강아지" and a == "고양이": # a가 "강아지"가 아니고 고양이라면 print("고양인데요?") else: # 위의 조건들이 맞지 않다면 print("애완동물이 아닌가봐") "in"을 통해 다른 언어에 비해 조건문 작성이 편한 점도 있습니다. 별도 처리 없이 "in"을 통해 리스.. 파이썬/기본문법 2024. 2. 15. 파이썬 Set 자료형 (집합 자료형) 집합 자료형 Set 리스트형 자료구조에서 중복된 값을 제거하거나, 리스트끼리의 값을 비교하려면 복잡한 로직을 짜야합니다. Set 클래스는 이것을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자료구조 입니다. Set 객체에 값을 넣으면 중복되는 값은 하나만 남고, 순서가 없기 때문에 인덱스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s1 = set("Hello World") # Set 생성 print(s1) Set 자료형을 리스트나 튜플 형태로 바꿔주면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랜덤한 순서로 지정되기 때문에 정렬을 해주지 않으면 어차피 인덱스를 직접적으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정렬이나 index() 함수 등을 통해 찾아서 사용해야합니다. s1 = set("Hello World") # Set 생성 lst = list(s1) # 리.. 파이썬/기본문법 2024. 2. 15. 파이썬 튜플 자료형 튜플 만들기 튜플은 리스트와 거의 동일합니다. 다만 튜플은 리스트와 같이 값의 수정, 생성, 삭제 등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대신 리스트 대비 빠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선택하면 됩니다. t1 = (1,) # 하나만 있어도 콤마 필요 t2 = (1, 2, 3, 4, 5) # 튜플 생성 t3 = 1, 2, 3, 4, 5 # 괄호 없으면 튜플로 인식 t4 = (1, 2, ("a", "b"), ("가", "나")) # 튜플 안에 튜플 대신 튜플 안에 리스트가 들어가있을 경우 리스트 안의 값은 수정이 가능합니다. t5 = (1, 2, ["a", "b"], ["가", "나"]) # 튜플 안에 리스트 t5[2][1] = "c" # 리스트 변수 값 바꾸기 print(t5) 튜플 다루기 튜플을 다루는 것은 리스트와 동일.. 파이썬/기본문법 2024. 2. 15. 파이썬 리스트 자료형 파이썬 리스트 만들기 다른 언어랑 비슷합니다. 다만 파이썬 리스트는 신기하게도 한 리스트에 다양한 타입을 한 번에 담을 수 있습니다. 리스트 자료형의 슬라이싱은 문자열과 동일합니다. # 뭐든 다 담을 수 있는 만능 리스트.. lst = [1, 2, "String", 0.5, [1,2,3]] print(lst) print(lst[0]) # 1번 째 print(lst[3]) # 3번 째 print(lst[:3]) # 3번 째 까지 print(lst[-1]) # 마지막 파이썬 리스트 연산하기 파이썬에서는 뭐든 쉽습니다. 리스트 등의 복잡한 자료구조 또한 다른 언어들과 달리 별도 처리 없이 간단히 처리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 길이(갯수)는 "len()" 함수를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num = [1,2,3] .. 파이썬/기본문법 2024. 2. 15. 파이썬 문자열 함수 및 기본 문법 파이썬 문자열 합치기 파이썬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문자열을 합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a = "사과" b = "배" print(a + b + "메롱") # 띄어쓰기 없음 print(a, b, "메롱") # 디폴트 값 자동 공백 한 칸 지정 print(a, b, "메롱", sep = "") # 중간 공백 지정 (띄어쓰기 없앰) print(a, b, "메롱", sep = "@") # 중간 공백 지정 ("@"로 대체) 위와 같이 변수와 직접 지정되는 문자열을 하나씩 합쳐주는 방식이 기본이지만 좀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문자열을 포매팅하는 방법들도 있습니다. a = "사과" b = "포도" print("{a} {b} 메롱") # 직접 변수 삽입 print("{} {} 메롱".format(a, b)) #.. 파이썬/기본문법 2024. 2. 14. 이전 1 다음 반응형